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동안 호황을 누렸던 국내 공유 오피스 업계가 팬데믹 이후 급감한 거점 오피스 수요와 경기 불황 속에서 생존을 위해 다양한 새로운 사업 모델을 도입하고 있다. 기존의 ‘공유 경제’ 개념을 기반으로 한 사업 모델에서 벗어나 사무실 임대 중개, 빌딩 리모델링, 인테리어 등으로 영역을 확장하며 돌파구를 모색 중이다.
공유 오피스, 위기의 시작
공유 오피스는 특정 공간을 사무실로 꾸며 개인이나 기업이 월 단위로 사용료를 내고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의 사업이다. 특히 코로나19 시기에는 기업들이 거점 오피스를 선호하면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코로나가 종식되고 대규모 기업들이 사무실 복귀를 선언하면서 공유 오피스 업계는 위기를 맞았다.
글로벌 1위 공유 오피스 업체인 미국 위워크(WeWork)는 2023년 11월 파산을 신청하며 몰락의 상징이 됐다. 한국에서도 경기 침체와 스타트업 시장의 위축으로 주 고객층이 줄어들며, 2021년 21개였던 서울 지역 공유 오피스 신규 출점 수가 2023년 9개로 감소했다. 이마저도 작년 상반기에는 단 2곳만 문을 열었다는 CBRE의 통계는 업계 상황의 심각성을 방증한다.
사업 다각화로 위기 극복
공유 오피스 업계는 이제 단순히 새로운 지점을 확장하기보다는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며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파크플러스와 패스트파이브는 기존의 공유 오피스 모델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 스파크플러스: ‘오피스B’ 프로젝트 스파크플러스는 서울 강남구 역삼역 인근에 위치한 빌딩을 통째로 임대해, 기업 단위로 한 층씩 사무실을 빌려주는 방식의 ‘오피스B’ 브랜드를 선보였다. 이는 기존 공유 오피스 모델이 아닌, 빌딩 소유주와 협력해 운영·관리와 인테리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스파크플러스는 올해 중으로 이러한 지점을 최소 2곳 이상 추가로 개설할 계획이다.
- 패스트파이브: 맞춤형 리모델링 서비스 국내 공유 오피스 1위 업체인 패스트파이브는 2023년부터 맞춤형 사옥 리모델링 사업을 시작했다. 이는 고객 기업이 새 사옥으로 사용할 빌딩 선정부터 내부 설계, 관리, 운영까지 전반을 대행해주는 서비스다. 패스트파이브는 빌딩 소유주와의 임대차 계약을 중개하고 비용 협상까지 맡아 기업과 임대인 모두에게 편리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중소업체들의 새로운 시도: 비상주 사무실
중소 규모의 공유 오피스 업체들은 비상주 사무실 서비스를 주요 생존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실제로 사무실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업자 등록 주소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수수료를 받는 방식이다. 초기 투자 비용이 적게 들고 수익성이 비교적 높은 이 모델은 사무실 수요가 급감한 상황에서도 소규모 업체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변화하는 업계, 미래는?
전문가들은 공유 오피스 업계의 이런 변화가 필연적이라고 평가한다. 기존의 단순한 공간 제공을 넘어 기업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거나, 건물 소유주와의 협력 모델을 강화하는 방향이 업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열쇠로 보인다.
하지만 업계의 생존을 위해서는 사업 다각화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목소리도 있다. 경기 회복과 스타트업 시장의 활성화 등 외부 요인이 함께 개선되지 않는 한, 업계의 구조적 위기가 장기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론
공유 오피스 업계는 위기의 순간을 맞아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자 노력 중이다. 스파크플러스와 패스트파이브 같은 선두 업체들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생존을 모색하고 있으며, 중소 업체들 또한 창의적인 방식으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업계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며 어떤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