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동산 쇼핑 늘더니… 부산 외국인 임대인 4년새 8배로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취득이 꾸준히 늘면서 부산에도 ‘외국인 임대인’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아파트 전경. 국제신문DB

9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확정일자 임대인현황’에 따르면 부산에서 확정일자가 부여된 부동산 거래에서 임대인이 외국인인 계약은 2020년 55건에서 지난해 450건으로 8배 넘게 급증했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55건이었던 외국인 임대인 계약은 2021년 168건, 2022년 253건, 2023년 295건에서 2024년 450건으로 크게 늘었다.

부동산을 사들여 전세나 월세 등 임대업을 하는 외국인이 늘어난 데다,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확정일자를 받으려는 임차인 증가로 드러나지 않았던 거래도 확인된 것으로 풀이된다.

구·군별로 보면 수영구 외국인 임대 건수가 지난해 77건으로 전년(29건)에 비해 크게 뛰었다. 같은 기간 남구가 19건에서 39건으로, 기장군이 8건에서 29건으로 급증했다. 해운대구는 지난해 100건으로 부산에서 가장 많았으며 2020년(11건)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은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투자가 늘어난 것과 관련이 있다. 지난해 부산에서 외국인이 ‘매매로 인한 소유권 이전 등기’를 신청한 건수는 361건으로 전년(330건) 대비 31건(9.4%) 증가했다. 아파트 오피스텔 등을 포함하는 집합건물로 좁히면 같은 기간 261건에서 311건으로 50건(19.2%) 뛰었다.

국내 외국인 부동산 투자 수요는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되지만, 부산에서도 꾸준히 수요가 발생하는 것으로 업계는 본다. 부산시 집계를 보면 미국교포가 보유한 필지는 지난해 4분기 기준 1214개로 전년 동기(920개) 대비 크게 늘었다. 지난해 수영구에서는 한국계 미국인이 부동산을 대거 사들인 것으로 파악된다.

부산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수도권과 제주까지는 아니지만 외국인 문의는 꾸준히 있다. 국적으로 보면 미국과 중국이 대부분으로 미국은 한국계 미국인이 많고, 중국은 한국 내 비즈니스를 염두에 두고 찾아오는 수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현행법상 내국인과 외국인은 부동산 거래 시 차이가 없지만, 외국인은 다주택 여부 파악이 어렵고 대출 규제에서도 자유로워 내국인보다 유리한 조건”이라며 “이를 악용하거나 내국인이 상대적으로 불리해 지지 않도록 법과 제도를 통해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세희 기자